highlike

Cho Youngkak

A Hot talks about Something, Someday, Someone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언어로 기능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인 Meme(밈/짤;이미지, 영상)을 바탕으로 한다. Meme을 바탕으로 재-생산된 이미지, 영상이 인공지능에 의해 새롭게 재구성 되어 관객의 인터랙션에 따라 변화하는 형태로 선보이는 작품이다. 카메라를 통해 받아들여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알고리즘(StyleGAN : A Style-Based Generator Architecture for GANs)이 학습을 진행한 각 모델과 반응하고 이를 통해 재구성된 언어로 디스플레이와 로보틱스(협동로봇)를 통해 시청각 소스로 바뀐다. 이 프로젝트는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위적인 결과를 토대로, 상호작용을 만들어 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만들어진 인공지능 모델은 일상적인 Meme의 의미에서 인간에게 받아들여지기보다는 인간의 대화를 대체하는 것에 보다 더 많은 감정적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05

Dan Tepfer

Natural Machines Ep. 11: Fractal Tree
Natural Machines는 음악에서 자연적 과정과 기계적 과정 사이의 교차점을 탐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나는 피아노에서 즉흥적으로 연주하고, 음악적으로나 시각적으로나 연주하는 동안 컴퓨터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이 실시간으로 나와 상호 작용합니다. Yamaha Disklavier로 연주하고 있습니다. 추가 기능이 있는 어쿠스틱 피아노입니다. 내가 연주할 때 데이터를 내 컴퓨터로 보내고 내 컴퓨터가 데이터를 보낼 때 자체적으로 건반을 움직여 연주합니다. 피아노를 통해 컴퓨터가 내는 소리는 내가 만드는 소리와 똑같습니다. 내가 만든 시각화는 각 작품의 근본적인 음악적 구조를 드러내기 위한 것입니다. 플레이하면서 실시간으로 생성됩니다. 화면의 모든 것은 음높이, 역동성, 리듬, 하모니와 같은 음악의 일부 측면을 직접적으로 나타냅니다.

Yoonji Kim

Drawers
서랍에서 물건이 사라지고 잊혀집니다. 서랍에서 물건 꺼내기- 실현되지 않은 수많은 예술적 아이디어, 수행되지 않은 의도 또는 작곡가의 미연곡 작품은 서랍에 가두어 둡니다.수십 년 동안, 때로는 영원히.공연은 잊혀진 것들을 되살려 새로운 가치를 부여합니다.서랍을 열면 어둠 속으로 빛이 쏟아지고 내면의 숨은 소리가 나옵니다.각 서랍은 자연의 소리, 소음, 가장 다양한 악기가 연주하는 서양 및 아시아 음악의 멜로디와 같은 고유한 소리를 숨깁니다.소리의 우주가 열립니다.볼륨, 강도 및 길이, 소리의 밀물과 흐름은 오프닝에 의해 조절됩니다. 다양한 조합은 무한한 다양한 구성 가능성을 만듭니다.연주자가 작곡가의 역할을 하고 공연이 콘서트가 됩니다. 한국의 전통 현악기인 가야금과 같은 악기와의 라이브 인터랙션도 가능합니다.한국의 전통 찬장과 마찬가지로 서랍에 새겨진 문구는 내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Renaud Defrancesco

Displuvium
Displuvium은 자연 환경, 특히 기상 현상을 제어하려는 인간의 욕망을 연구하는 예술적 연구입니다. 1940년대 후반부터 정부 기관 및 기타 기관과 같은 일부 기관은 강우량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구름에 화학적으로 개입했습니다. “구름 파종”이라고 불리는 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관행은 우박이 작물을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고 심각한 가뭄 기간을 완화하며 군사 분쟁의 맥락에서 전략 지역의 소나기를 강화하고 심지어 잘 알려진 군사 퍼레이드에서 비가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BARECONDUCTIVE

Conductive Bodypaint
영국의 베어 컨덕티브 스튜디오(Bare Conductive Studio) 가 개발한 ‘베어’는 일종의 전도성 잉크다. 일시성, 수용성 이라는 점과 음식, 화장품 첨가제로도 사용되는 비금속 전 도성 입자로 구성돼 몸에 직접 사용해도 안전한 것이 특징 이다.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과 감각을 통해 전자 기기와 상 호작용할 수 있게 돕는 다리역할을 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컴퓨터 간에 정보를 전달하고, LED와 같은 작은 전구에 전 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베어’의 사용법은 간 단하다. 붓이나 스프레이를 이용해 잉크를 몸에 바르면 하 나의 회로판이 만들어지는 셈인데, 여기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된다.